안드로이드의 코드네임
애플의 iso가 버전업을 할 때 ios1, 2, 3의 숫자를 매긴다면
안드로이드는 여러가지 디저트의 이름을 따서 코드네임을 만든답니다.
이 이름들은 구글 직원들이 좋아하는 디저트의 이름으
로 만들어 졌다고 하는데요
A부터 현재 최신 버전인 H까지 그 순서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와 B는 없습니다!!!!!! 그냥 1.0, 1.1, 1.5입니다.


코드네임 E, 안드로이드 이클레어(éclair) -2.2

코드네임 F, 안드로이드 프로요(Froyo) -2.3

-전세계 안드로이드 os 사용율 1위-



이 업데이트는 올해 4분기(2011년 4분기)에출시 된다고 합니다.
A부터 현재 최신 버전인 H까지 그 순서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와 B는 없습니다!!!!!! 그냥 1.0, 1.1, 1.5입니다.
코드네임 C, 안드로이드 컵케익(cupcake) - 1.6
가장 처음으로 디저트의 이름이 들어간 버전인 안드로이드 1.6 일명 컵케익(cupcake)입니다.
2009년 4월에 발표되었죠. 안드로이드가 A이니까 그다음부터 이렇게 나오지 않았을까 추측이 됩니다. 그러면 B는????? 그건 개발자만 알겠죠? ㅋㅋㅋ
코드네임 D, 안드로이드 도넛(donut) -2.1
컵케익이 나오고 약 5개월 후, 도넛이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안드로이드 1.6이 공개됩니다. 카메라와 캠코더 기능 등이 대폭적으로 추가된 버전이었습니다.
컵케익에 이어서 도넛이라는 코드네임을 사용하면서 사람들이 ‘혹시 알파벳 순서대로 달콤한 간식거리의 이름을 붙이는 건가?’ 하고 생각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합니다.
코드네임 E, 안드로이드 이클레어(éclair) -2.2
안드로이드 컵케익, 안드로이드 도넛에 이어 안드로이드 이클레어가 발표되면서 안드로이드 코드명은 ‘알파벳 순서 + 달콤한 간식거리 이름’ 이라는 공식이 성립되었습니다.
이클레어라는 이름은 사실 좀 낮선 이름이지만 나름 제과점에서 유명한 빵 이름이라고 합니다.
코드네임 F, 안드로이드 프로요(Froyo) -2.3
-전세계 안드로이드 os 사용율 1위-
2010년 5월에 발표된 코드네임 프로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버전입니다. 프로요가 대체 뭐야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 실텐데, 프로요는 프로즌 요거트(frozen yogurt)의 줄임말입니다.
코드네임 G,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ginger bread) -3.0
코드네임 G,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ginger bread) -3.0
2010년 12월에 발표된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 입니다.
서양에서는 감기에 효과가 좋지만 매운 맛 때문에 아이들이 싫어하는 생강을 이용해서 쿠키를 만든다고 합니다. 이 생강쿠키를 진저브레드라고 한답니다.
코드네임 H, 안드로이드 허니콤(honeycomb) -3.05?
2011년 2월에 출시된 안드로이드 허니콤은 태블릿 PC의 최적화를 위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허니콤이라는, 미국이나 서양에서 흔히 먹는 벌집 모양의 시리얼이라고 한답니다.
코드네임 I, 안드로이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icecream sandwich) -3.1
이제 새롭게 발표될 차례인 코드명 ‘I’ 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는데요, 코드명 I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결정된 모양입니다. 이번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곳에서 하나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는 것으로 어떤 장치든, 휴대폰, 태블릿 등에서 앱(어플리케이션)들이 같이 구동되게 한다는 것,.구글은 이번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특징들에대해
풀 공개는 하지 않앗지만 다양한 특징들이 포함된다고 전했습니다.이 업데이트는 올해 4분기(2011년 4분기)에출시 된다고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